대부분 투자자들은 펀드 이름에 중국이 들어있으면 똑같다고 생각하지만 중국 관련 펀드의 수익률은 투자 지역과 투자 방식에 따라 천차만별이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수익의 차이가 나는 이유 1. 투자 지역을 확인하세요.
결국 '중국'의 범위를 잘 따져봐야 합니다. 중국펀드는 투자지역에 따라 '중국펀드'와 '대중국펀드'로 나뉩니다. 중국펀드는 중국 본토의 종목에 투자하는 펀드고, 대중국펀드는 중화권에 분산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올해는 중국 증시의 상승폭이 홍콩,대만증시의 상승폭보다 컸습니다. 따라서 중국과 함께 홍콩,대만기업에도 투자한 대중국펀드의 수익률이 중국 기업에만 투자한 중국펀드보다 낮았습니다. 결국 투자자는 펀드 가입 전에 중국 본토에 투자하는 것인지 주변 홍콩과 대만에 투자하는 지를 우선 확인하여야 할 것입니다.
▶수익의 차이가 나는 이유 2. 수수료와 환율 리스크를 확인하세요.
투자방식에 따라서는 증시 상장 종목에 직접 투자하는 직접투자펀드와 펀드에 투자하는 재간접펀드로 나뉩니다. 이 경우 수익률은 크게 차이 나지 않지만 재간접펀드의 수수료가 더 비싼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입 전에 챙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같은 직접투자펀드 내에서는 외국에서 설정된 역외(off shore) 중국펀드와 국내 운용사가 국내(on shore)에서 설정한 해외투자 중국펀드로 나뉩니다. 모든 해외펀드에서 환율이 주요한 변수지만 특히 역외 펀드는 달러로 투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율 변수를 더 꼼꼼하게 따져봐야 합니다. 올해의 경우 원화 강세로 인해 역외 펀드가 원화 환산 수익률에서 10%포인트 이상 손해를 보았답니다.
국내 운용사가 운용하는 중국 관련 해외투자펀드는 대체로 펀드 내부에서 환헤지 기능이 있습니다. 역외펀드는 외국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펀드로 국내 판매회사가 물건을 떼어내 국내 투자자들에게 파는 형태입니다. 펀드 기준가는 투자지역 통화이기 때문에 투자자 처지에선 환헤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해외투자펀드는 국내 운용사가 운용하는 펀드로 환헤지 여부는 투자자들이 결정해야 할 사항이 아니라 운용사의 몫입니다.
구 분 |
펀드명 |
운용사 |
투자 지역 |
국내운용 해외펀드 on shore |
봉쥬르차이나 |
신한BNP파리바투신 |
중국 증시 |
차이나디스커버리 |
미래에셋자산 |
홍콩, 중국 |
차이나솔로몬 |
미래에셋자산 |
중국 증시 |
산은China재간접 |
미래에셋자산 |
중국펀드 재투자 |
해외운용 국내판매 off shore |
HSBC중국주식형펀드 |
HSBC Investments |
중국 증시 |
피델리티차이나포커스 |
피델리티 |
중국 증시 |
피델리티그레이터차이나 |
피델리티 |
중국, 홍콩, 대만 |
슈로더그레이터차이나 |
슈로더 |
중국, 홍콩, 대만 |
템플턴차이나 |
템플턴 |
중국, 대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