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저축' 가입의 3-5-7 법칙 금융상품 가운데 최고라고 불리는 장기주택마련저축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서민의 내 집 마련을 위한 장기 적금 상품이다. 그 만큼 혜택도 있는데 먼저 비과세가 적용된다. 그리고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그 해 불입금액의 40%까지 최대 300만원까지 해당된다. 또 금리도 비교.. 금융상품 2008.01.05
[실전 재테크]‘장마’상품 저축·펀드로 쪼개라 [실전 재테크]‘장마’상품 저축·펀드로 쪼개라 <경향신문> 연말마다 봉급생활자의 자산관리에서 1순위를 차지하는 것은 ‘또 하나의 보너스’라 불리는 ‘연말정산’이다. 성공적인 연말정산을 위해서는 소득공제나 세액공제가 있는 금융상품을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 금융상품 2007.11.16
CMA 가입 Tip 투자 노하우 2편 내 스타일에 맞는 투자 상품 선택하기-CMA 글쓴이 : 내 인생을 바꾸는 재테크 (짠돌이 카페) 월급쟁이라면 CMA가입은 필수! 직장생활 7년차인 현지, 그녀의 말에 따르면 투자는 머리를 쓰는 일이라기보다 '몸을 부지런히 움직이는 일' 이다. 움직이는 것을 귀찮게 생각하면 종자돈을 불릴 .. 금융상품 2007.11.07
저축은행 저축은행에 분산 예금하면 고금리도 챙기고 원리금도 보호받아요` [중앙일보] “한푼이라도 더 벌어야 하는 서민들 입장에서는 저축은행이 유용한 재테크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솔로몬저축은행 주영천(40·사진) 도곡지점장은 “신뢰도나 편리성 측면에서는 은행에 비해 다소 떨어지지만 금리를 .. 금융상품 2007.10.11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고정금리 vs 변동금리 대출은 금리의 변동 유무에 따라서 고정금리대출과 변동금리대출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고정금리 : 대출시에 정했던 금리로 만기시까지 적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장점 + 금리가 확정적이므로 금리변동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안정적인 방식 + 대출 후 금리가 큰 폭으로 .. 금융상품 2007.07.12
CMA CMA 현재 CMA라 부르는 상품은 크게 어음관리계좌와 자산관리계좌로 나눠집니다. 본래 CMA(Cash Management Account)라는 이름은 '어음관리계좌'로 부르는 실적배당형 상품을 일컬었습니다. 어음관리계좌는 종합금융사(종금사)라는 금융회사만이 판매할 수 있는 상품으로 국공채나 CP(기업어음)에 투자해 올린 .. 금융상품 2007.06.01
은행상품개괄 은행상품개괄 은행상품은 고유계정인 예금상품과 신탁상품으로 나누어집니다. 예금상품에는 수시입출식 예금, 목돈마련을 위한 상품, 목돈운용을 위한 상품으로 나뉩니다. 수시입출식 예금인 경우 기한을 정하지 않고 일시 자금을 예치하기 위한 상품으로 은행계정인 보통예금, 저축예금, 당좌예금,.. 금융상품 2007.06.01
청약통장 활용 ●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 자주 듣지만 그만큼 헷갈리는 상품 중에 청약통장이라 불리는 청약저축, 청약부금, 청약예금이 있습니다. 청약저축이란 20세 이상 무주택 가구주만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매월 2만원~10만원을 2년동안 모아 지역별 청약가능금액 이상 적립되면 아파트 청약이 가능.. 금융상품 2007.06.01
복리와 단리의 차이 복리와 단리 차이 ● 복리는 매월 적립한 금액과 발생한 이자에 이자를 더해 주는 방식을 말하며 단리는 매월 적립한 금액에 대해서만 이자를 더해 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1년동안 연 5% 상품에 가입했다면 단리로 계산할 경우 처음 가입한 원금인 1백만원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게 .. 금융상품 2007.06.01
연금예금이 일반 예적금 상품보다 유리할까? 연금예금이 일반 예적금 상품보다 유리할까? 연금예금은 일시에 목돈을 맡기면 이를 연금식으로 매달 일정액씩 가입자에게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예컨대 6,000만원을 5년제 연금예금 상품에 가입했을 경우, 이때 약정금리가 10%(세전)라고 하면 원리금 6,600만원(6,000만원+6,000만원x0.1)을 60개월로 나눈 금.. 금융상품 200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