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이란 무의식적인 방법으로 인식을 유도하는 심리기능이라고 융은 말한다.
"직관이란 그 파악하는 내용이 무엇이든 하나의 본능적 파악instinktives Erfassen이다."
감각이나 마찬가지로 비합리적 인식기능이다.
직관 내용은 감각 내용이나 마찬가지로 사고나 감정 내용처럼 유도되거나 표현된 것이 아니라 '이미 주어진 것'Gegebenheit이라는 특징이 있다.
우리는 직관이나 감각을 사고나 감정처럼 어떤 이성의 법칙에 따라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이런 것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발견하고 직접 지각한다.
그러므로 직관적 인식은 확실성Sicherheit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직관은 스피노자에 의해서 가장 고도의 인식형태로 간주되었고 베르그송도 비슷한 의견이었다고 융은 말한다.
오랜 시간에 걸쳐 관찰된 많은 사실들을 조용히 그리고 별다른 노력 없이<즉 전의식적으로>조직화하고 통합함으로써 빠르게 이해하는 능력을 일컫는다.
직관에서 개인은 중간에 개입된 정신 단계들을 건너뛰며, 따라서 갑작스럽고 놀라운 방식으로 이해에 도달한다.
그러나 직관을 통해 획득된 지식은 의도적이고 객관적인 인지적 노력에 의해 그 타당성이 확인될 필요가 있다.
직관은 공감과 관련되며, 때로 이 둘은 명확하게 구별되지 않는다.
대개 공감은 정서적 경험을 공유하는 것인데 반해,
직관은 그것에 도달하는 순간 다른 사람에게 전해질 수도 전해지지 않을 수도 있는 개인적 생각과 사고를 말한다.
공감적 반응은 종종 객관적 이해의 기초가 되는 정보 수집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공감은 경험하는 자아의 기능인 반면,
직관은 관찰하는 자아의 기능인 것처럼 보인다.
직관은 주관적 형태와 객관적 형태로 나타난다.
"전자는 주관적 영역인 무의식의 심리적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며,
후자는 객체에 있어서의 역하지각subiminale Wahrnehmung과
그 인식을 통하여 야기된 역하감정과 사고에 의거한 객관적 사실의 인식이다.
또한 융은 구체적 형태와 추상적 형태의 직관을 구별한다.
구체적 직관은 사물의 사실성의 인식을,
추상적 직관은 관념상의 관련ideelle Zusammen-hange의 인식을 중개한다.
구체적 직관은 하나의 반응의 과정이지만,
추상적 직관은 어떤 방향을 결정하는 요소들, 또는 의지나 의도를 필요로 하는 직관이라고 설명된다.
직관도 감각이나 마찬가지의 유아적 원시심성의 특징을 가진다.
직관은 어린이나 원시인에게 이념ldea의 전단계인 신화의 상을 인식시키도록 한다.
감각과 함께 직관은 사고와 감정같은 합리적 기능이 성장하는 모체라고 융은 또한 주장한다. 직관은 본래 비합리적 기능이지만 그것을 분해해서 이성의 법칙과 일치시킬 수도 있다.
생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입장이 직관의 원리, 즉 무의식의 지각에 그 근거를 둘 때 그를 직관형이라고 부른다.
직관이 주로 인식Erkennen과 내적 관조냐 주로 외적으로 행동수행의 방향으로 귀결되느냐에 따라 내향적 직관과 외향적 직관이 구별된다.
이상태의 예에서는 이 기능이 집단적 무의식의 내용과 강하게 혼융되거나 이에 따라 제약되며,
그렇게 되면 직관형은 극도로 비합리적이어서 이해하기 곤란해진다.
감각과 직관은 곧잘 혼동될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외향적 직관형의 경우에는 외향적 감각형이나 마찬가지로 둘 다 객체에 대한 인식이기 때문에 그것이 직관이 아니고 감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외향적 감각형에서의 감각은 직관적 관조를 방해하여 사람의 시선을 객체의 물리적 표면으로 향하게 한다.
그런데 바로 그것을 지나 그 배면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 직관이다.
외향적 직관형<外向的 直觀形>
der extravertierte intuitive Typus, extroverted intuition type
직관은 여러가지 가능성을 알아차리는 기능이다.
감각 -- 특히 외향적 감각이 객관적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을 가진 것이라면
외향적 직관은 그 객체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파악하고,
그것이 객관 세계에서 실현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는 데 비상한 능력을 발휘한다.
그래서 우리는 외향적 직관형을 기업가, 상인, 신문기자, 정치가 같은 경우에 많이 발견한다.
이들은 외향적 감각형처럼 현실적인 감각에 충실한 행정가와는 달리
항상 무슨 사업이 장래성이 있는가,
무슨 상품이 장차 잘 팔리고 무엇이 앞으로 유행할 것인가,
독자가 무슨 기사를 흥미있게 읽게 될 것이며,
미래의 세계에 무엇이 일어날 것이며,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를 미리 알 수 있는 사람이다.
그가 출판사 주인이면 다음 해에 무슨 책이 베스트 셀러가 되겠는가를 알고
아무도 생각하고 있지 않은 작업을 미리부터 시작하는 사람이며,
증권, 부동산 투자를 해서 성공을 거두는 사람 가운데는 또한 외향적 직관형이 흔히 발견된다.
이 유형의 사람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은 것 같다고 융은 말한다.
이 여성들은 사교 무대에서 활약하거나 사회 활동을 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가진 사람들을 발굴하고,
그들의 숨은 소질을 계발하도록 용기를 주고 그 천재성을 키우는데 적극적이므로 문화발굴에 극히 큰 공헌을 하게 된다.
그들은 어떤 사람이 현재 남에게 평가를 받고 있는가 없는가는 개의치 않는다.
무명의 작가, 화가, 음악가들의 자질과 '장래성'을 재빠르게 파악하고,
이러한 직관적 인식에 확고하게 발을 디민 채 이들을 후원하며,
또한 이들을 서로 만나게 하고 자극을 주게 함으로써 이들의 숨은 능력을 성장하게 한다.
그리하여 아무도 돌보지 않거나 때로는 사회로부터 경시되고 있는 소수의 집단일지라도 그것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한 적극적으로 이들을 도와주게 된다.
미래를 창조하는 사람들 -- 이런 사람들이 없는 문명이란 삭막한 것이다.
외향적 직관형은 바로 이런 사람들을 위한 적합한 장소를 제공하고 이들에게 활기를 불어 넣어주는 사람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창조에 참여하고 있다.
창조적인 인간에 내향적인 사람이 많지만, 이들은 자기의 창조성을 밖으로 표시할 줄을 모르고 그렇게 하는데 극히 서투르고 또한 용기도 부족한데,
이것을 보충시켜서 내향형으로 하여금 자기의 새로운 사상, 새로운 감각 등을 밖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사람이 외향적 직관형이다.
외향적 직관형에 있어서의 위험성은 그가 너무 외향적 직관기능에만 사로잡혀서 이성적으로 자기의 인식을 정리하고 저장할 겨를이 없다는 것이다.
그는 항상 새로운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아 나선다.
그러므로 한 곳에 오래 머물러 그가 발견한 가능성을 차분히 키워 나가지 못한다.
다른 가능성이 있는 객체가 눈에 띄면 하던 일을 내버리고 그곳으로 간다.
그는 마치 씨를 뿌리고 다른 밭으로 가는 농부와 같다.
사방에 창조적 가능성을 일깨워 놓고는 실상 그가 이룩해 놓은 것은 없다.
즉 수확은 그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 하게 된다.
그것은 마치 새로운 가능성이 엿보이는 인재를 발굴해 놓고는 다른 또 하나의 가능성 있는 인재를 발굴하면 먼저 그 사람을 거리낌 없이 버리고 새 사람을 붙드는 식이다.
감정이나 사고는 이 형에서는 열등기능에 속하므로 그는 타인에 대하여 그리 따뜻한 감정을 가진 사람처럼 보이지 않고 자기가 대인관계에서 손해보고 있는가 없는가를 이성적으로 따지지도 않는다.
그래서 다른 사람으로부터는 '사람을 이용하고 무자비하게 버리는 사람'이라고 비난을 받기가 쉽다.
그러나 그는 그 자신의 도덕Moral을 가지고 있다고 융은 말한다.
즉 그의 관조Anschauung에 대한 충실성, 그리고 그 힘에 서슴없이 순종하는 도덕이다.
주위의 사람들과 마찰 없이 지내려는 노력은 별로 하지 않고 자기의 건강에 대한 적절한 배려는 더구나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외향적 직관형에서 가장 소흘히 하는 기능은 감각인데, 그것은 내향적 특징을 갖는다.
이것이 바로 자신의 신체감각을 소흘히 하는 까닭이다.
그는 피곤한 줄을 모르는 사람이다.
언제 배고픈지조차 모른다.
그러다가 앓아 눕게 되거나 노이로제에 걸리면 비로소 자기의 신체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는데,
이때는 무의식적인 보상 때문에 지나치게 신체감각에 매달리는 경향이 나타난다.
무의식에 억압된 열등한 내향적 감각이 의식의 알방성에 반기를 들고 강박적으로 의식을 침범해 들어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외향적 직관형에서 잘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강박증상이며, 특히 건강염려성hypochondriacal강박관념이나 건강에 대한 공포증, 또는 병적인 신체 감각이다.
사고와 감정도 비교적 열등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유아적, 고태적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이런 무의식의 열등한 사고나 감정이 투사되면 객체에 대하여 구체적konkret인 성격을 띤 성적<性的>, 재정적 또는 그 밖의 추측을 하게 된다.
물론 열등한 감각이 이들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때로 고태적 감각이 투사되면 이 형의 사람은 전혀 어울리지 않는 남자, 또는 여자에 반해 버리는데, 이들이 그 사람의 무의식의 원시적, 고태적 감각 영역을 건드리기 때문이다.
폰 프란츠는 외향적 직관형에서 어떻게 그 열등기능인 감각을 분화시킬 수 있는 가를 한 사람의 꿈과 적극적 명상과정Aktive lmagination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MB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해석시 주의해야 할 사항 (0) | 2008.01.25 |
---|---|
MBTI 검사시 선호도 점수가 높거나 낮은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0) | 2008.01.25 |
직관, 내향적직관형 (0) | 2008.01.25 |
사고, 외향적 사고형 (0) | 2008.01.25 |
외향적 감각형- 세련되고 유행에 민감하고 유행을 선도하는 사람 (0) | 2008.01.25 |